리더십은 성격이 아니라 습관! 변화는 작고 구체적인 실천에서 시작!
몇 년 전, 제가 아는 한 임원은 매일 아침 10분 동안 100여명의 중에 3명의 구성원에게 짧은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는 습관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팀 분위기는 눈에 띄게 밝아졌고, 피드백도 훨씬 활발해졌습니다. 그 임원이 이렇게 말하더군요. “아침 10분, 그게 나의 리더십을 바꿨습니다.”
리더십은 그렇게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매일 반복되는 작고 구체적인 행동 즉, ‘습관’이 결국 리더의 정체성을 만들고 그 것이 곧 그 사람의 리더십이 됩니다.
오늘은 리더십의 습관을 만드는 5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왜 이걸 해야 하지?” 목적부터 분명히 하세요
습관은 고통을 동반합니다. 기존의 익숙한 방식보다 새로 시도하는 변화가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때 “누구를 위해?”가 분명하면 버틸 힘이 생깁니다.
심리학자 리오 바바우타는 “내가 아닌 타인을 위한 목적이 변화를 지속시키는 힘”이라고 말했습니다. 예컨대 “우리 팀이 더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라는 이유는 당신이 매일 10분의 팀 체크인을 실천하게 만듭니다. 리더가 습관을 설계할 때는 ‘내가 얻을 것’보다 ‘누구를 위한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즉, Why가 분명해지면 실행이 쉬워집니다.
2. 트리거가 없다면, 습관도 없습니다
찰스 두히그는 『습관의 힘』에서 “트리거를 모르고 습관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회의에서 피드백 주기’라는 목표가 있다면 ‘회의 때’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니가 아이디어를 발표했을 때’처럼 명확한 장면을 트리거로 정하세요. 이 구체성이 습관화를 촉진합니다.
리더의 경우, 트리거는 업무상 순간입니다. 보고서 확인 직후, 회의 종료 직후, 일일 스크럼 미팅 등. 반복되는 행동 앞에 맞춤형 트리거를 심는 것이 좋은 예이자 핵심입니다.
3. 60초 안에 끝낼 수 있어야 습관 만들기
“습관은 작을수록 강하다.” BJ 포그 박사의 말입니다. 새로운 습관은 작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팀원 성장에 관심 가지기” 대신 “퇴근 전, 한 명에게 오늘 수고한 점 문자 보내기”처럼요. 실행 가능해야 지속됩니다.
리더의 하루는 바쁩니다. 60초 안에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줄이지 않으면, 결국 ‘내일부터 하지 뭐’로 미뤄집니다. 그리고 내일 실행할 가능성은 확연히 줄어듭니다.
4. 반복은 기술! 심층 연습으로 습관 정착
대니얼 코일은 『탤런트 코드』에서 “좋은 습관은 좋은 연습에서 만들어진다”고 강조합니다. 리더에게 중요한 습관은 커뮤니케이션, 피드백, 경청 등입니다.
이러한 스킬도 반복을 통해 다듬어져야 합니다. 같은 말이라도 톤, 타이밍, 단어 선택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죠.
예를 들어 “이건 좀 다르게 접근해볼 수 있을까요?” 같은 피드백 문장을 다양한 상황에서 연습해보세요. 녹음하고 듣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5. 실패도 계획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케이크 한 조각 먹었다고, 전부 다 먹을 필요는 없어요.” 작심삼일은 피할 수 없습니다. 문제는 포기냐 회복이냐입니다.
좋은 습관 시스템은 페일세이프(Fail-safe), 즉 실패를 전제로 설계됩니다. 하루 놓쳤다면? 복귀 루틴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놓치면 다음 날 아침 회의 후 5분간 복기한다” 같은 보완 전략이 필요합니다. 리더는 실패에 너그럽되, 다시 돌아오는 길을 반드시 열어둬야 합니다. 그게 ‘지속 가능한 습관’입니다.
글을 맺으며
리더십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연습과 반복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리더다운 습관을 설계하고, 실천하고, 다시 설계하는 ‘반복의 기술’로 완성되는 것입니다. 아침 10분이, 짧은 피드백 한 마디가, 작은 실천 하나가 나의 리더십을 바꿉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의 하루도, 그 작고 구체적인 ‘한 걸음’에서 변화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오늘 어떤 습관을 하나 설계해보시겠습니까?
# Keywords : #리더습관 #리더십개발 #에스프레소리더십 #행동리더십 #조직변화
'☕에스프레소 리더십(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의 질문 습관을 바꾸는 3단계 (0) | 2025.04.04 |
---|---|
AI 시대, 더욱 중요한 인간적 리더십의 힘 (0) | 2025.03.31 |
애벌린 패러독스(Abilene paradox)와 첫 주장 독식 현상(The first claim takes it all phenomenon) 극복하기 (0) | 2025.03.18 |
미러 뉴런이 알려주는 공감능력의 비밀 (0) | 2025.02.25 |
'던바의 수(Dunbar's Number)'가 리더에게 주는 인사이트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