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심리학 인사이트

(10)
자아 팽창(Ego Inflation), 문제와 해결 방안 자아를 팽창시키는 순간, 리더십은 무너진다!  승진한 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한 신임 임원 A님. 그동안 노력한 결과 승진했으니 이제 실력을 보여줄 차례라고 생각했습니다. 회의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구성원들에게 더 강한 리더십을 발휘하려 애썼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구성원들은 점점 그와의 거리를 두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왜 이렇게 구성원들이 자신에게 비협조적인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아 팽창(Ego Inflation)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자아 팽창이란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본인의 역할과 능력을 실제 이상으로 부풀려서 인식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조직에서는 특히 직책이 높아질수록 이런 현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본인의 진짜 가치로 착각하면서 겸..
명상(Meditation) & 마음챙김(Mindfulness), 역량 강화와 스트레스 관리 바쁜 하루 속, 마음챙김은 최고의 생산성 도구다!  "바쁜 일상 속, 나를 위한 시간을 가져본 적 있나요?"   제가 대기업에 근무할 때 산하 조직 구성원들과 워크숍을 진행할 때 이렇게 물었던 적이 있습니다. "최근 하루에 얼마나 집중해서 일하나요?" 직원들의 대답은 대체적으로 이랬습니다. "사실, 하루 종일 회의와 업무로 진짜 바쁘긴 한데, 집중해서 일 했던 순간은 잘 없었던 것 같아요."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집중력을 잃고 헤메이거나, 다양한 스트레스에 휩싸이곤 합니다. 그런데 구글(Google)이나 애플(Apple), 메타(Meta)와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직원들의 집중력과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마음챙김(Mindfulness)’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휴식이나..
퍼빙(Phubbing), 오해와 갈등의 시작 당신이 스마트폰을 내려놓는 순간, 관계는 다시 살아난다.  스마트폰이 연결의 도구인가, 단절의 원인인가? 우리는 대화 속에서 점점 더 서로를 놓치고 있지는 않습니까?.   지난 주에, 서울에서 후배가 지인과 함께 찾아와 저녁을 했습니다. 그런데 후배가 데려온 지인이 식사를 하면서 수시로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는 모습에 적잖이 언짢았습니다. 물론 제가 언짢음을 표현하진 않았습니다만 최근에 주변에서 자주 마주치게 되는 모습 아닌가요? 저 또한 만남의 자리에서 저런 행동을 하지 않았는지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소중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면서도 종종 스마트폰 화면에 빠져듭니다. 이 행동이 쌓이면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퍼빙(Phubbing)은 ‘Phone(전화)’과 ‘Snubbing(무시..
작심삼일, 완벽하게 극복하기_지속 가능한 변화를 만드는 법 작심삼일? 다시 시작하면 그게 ‘작심삼일 X 100’이다!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세웁니다. "올해는 꼭 운동을 시작해야지!" "책을 50권 읽을 거야!" "아침형 인간이 될 거야!"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3일도 채 지나지 않아 헬스장은 텅 비고, 새로 산 다이어리는 첫 페이지만 빼곡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생각하죠. "나는 역시 의지가 부족해."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사실 ‘작심삼일’은 단순한 개인의 의지력 부족이 아니라, 인간의 뇌 구조와 심리적 특성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 '작심삼일의 저주'를 극복하고 꾸준히 목표를 실천할 수 있을까요?작심삼일을 극복하는 3가지 심리학적 전략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 '작심삼일의 저주'를 극복하고 꾸준히 목..
바넘 효과(Barnum Effect), 뻔한 말에 속지 마라! 바넘 효과에서 벗어나야, 진짜 나를 찾을 수 있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모호한 말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당신은 때로는 외향적이지만, 때로는 내향적입니다." 이러한 문장을 접했을 때, 많은 분들이 "맞아, 이게 바로 나야!"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이고 모호한 진술이 바로 '바넘 효과'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바넘 효과(Barnum Effect)는 사람들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이고 모호한 성격 묘사를 자신에게만 해당한다고 믿는 심리적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향은 점성술, 운세, 성격 테스트 등에서 자주 나타나며, 개인이 자신에게 특별히 맞는 정보라고 느끼게 만듭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심리적 요인에서 비롯됩니다. 왜 우리는 바넘 효과에..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이대로 방치할 건가? 짧은 자극에 길들여진 뇌, 이제는 휴식이 필요하다.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우리의 뇌를 '팝콘 브레인' 상태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짧고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게 되어 일상생활에서의 소소한 즐거움을 느끼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집중력 저하, 무기력감, 우울증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팝콘 브레인'이라는 용어는 미국 워싱턴대학교 정보대학원의 데이비드 레비 교수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뇌가 짧고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고, 일상적인 자극에는 무감각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팝콘이 열을 만나 톡톡 터지듯, 우리의 뇌도 강렬한 디지털 자극에만 반응하게 되는 것이죠. 팝콘 브레인의 원인과 영향  팝콘 브레..
몰입, AI 시대 문제 해결의 진정한 열쇠! AI가 데이터를 분석한다면, 인간은 몰입으로 혁신을 만든다.  AI가 점점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역할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몰입(Flow)'이 더욱 중요한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계가 단순 반복 업무를 대신하는 시대에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깊이 있는 사고가 경쟁력을 결정짓기 때문입니다.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적인 몰입 전문가안 서울대학교 황농문 교수는 "몰입은 행복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어려운 일을 해내는 힘이다"라고 설명합니다. AI 시대에 몰입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몰입이 실제로 문제 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몰입이란?  몰입이란 한 가지 일에 깊이 빠져들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집중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
우울증과 중년 위기는 왜 찾아오는가? 중년은 나를 성장시키는 또 다른 이름!  우리 대부분은 중년이라는 시기를 지나면서 행복과 안정 사이에서 미묘한 불안감을 느낍니다. 40대 초반인 제 지인 B 씨는 한때 열정적이었던 직장인이었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가 주어질 때마다 흥분했고, 퇴근 후에는 헬스장을 찾으며 자기관리에 신경 썼습니다. 그러나 10년이 지나고, 모든 것이 익숙해지자 그는 더 이상 성취감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나는 왜 이렇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하루가 멀다 하고 그의 머릿속을 채워갔고 제게 고통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B 씨의 사례는 우리 중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익숙함에 길들여진 환경에서는 도전의식이 사라지고, 변화 없는 일상은 결국 우울증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은 원래 호..